일하다 보면 WAS 사용량이 90% 초과하고 있다는 알림 혹은 연락을 받곤 합니다. 모니터링 툴이 없다면 리눅스에서 현재 내 서버 용량의 사용량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버 사용량 초과 연락이 자주 온다면?
Log파일을 생성하거나 SFTP 다운로드 등 서버 용량을 차지하는 작업에는 항상 일정 기간 전의 파일을 지워주는 작업이 있어야 합니다.
(3개월 단위 log 보관 예) Server_2022_04_01.log 생성 전에 Server_2022_01_01.log 삭제 로직 추가
이런 삭제 로직이 잘 구현되었다면 사용량 초과 연락을 받을 일이 없을텐데 이 작업이 없을 수 있습니다.
어딘가에 불필요한 이미지 혹은 log 파일이 쌓이고 있을 겁니다.
삭제 로직을 추가하거나 로그레벨을 조정하면 되지만 우선 급한대로 수기로 지워야 합니다.그리고 보통 우리는 격무에 시달리기 때문에 삭제 로직을 언젠가 자체 개선 건으로 작업해야지 하면서 매일 서버 용량 체크를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자주쓰는 서버 용량 체크 명령어
df -h
가장 깔끔하게 보여줍니다.
use%의 숫자가 100%에 가깝다면 주의하셔야 합니다.
워낙 짧아서 몇번 쓰다보면 외워지지만 오랜만에 쓰려면 잘 기억이 안 납니다.
외워지기 전에는 Alias에 check 등으로 추가해두고 쓰곤 했습니다.
[LINUX] 리눅스 Alias 등록 및 조회 (tail -f log 등록)
주로 개발/운영 log를 보기 위해 자주 사용하는 Alias의 존재를 모르고 그냥 "리눅스 들어가서 was_log, wlog치면 로그 나올거야"라고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눅스 서버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
studyingazae.tistory.com
df 명령어
df | 디스크 용량 확인 |
df -h | 예쁘게 보기 |
df -k, df -m | kb, mb 단위로 보기 |
du 명령어
du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 용량 확인(하위 포함) |
du -h | 예쁘게 보기 |
du -a | 디렉토리 내 파일의 용량도 같이 출력 |
du -s | 총 용량 확인 |
'IT' 카테고리의 글 목록
IT, 육아, 게임, 생활정보 등 각종 컨텐츠 노트 겸 공유
studyingazae.tistory.com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리눅스 쉘 지난달 구하기(윤달 29,30,31일 지난달.sh) (0) | 2022.04.07 |
---|---|
[LINUX] 여러 파일 및 폴더 압축/압축해제 명령어 (zip, tar) (0) | 2022.03.23 |
[LINUX] 리눅스 SFTP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0) | 2021.12.28 |
[LINUX] 리눅스 Alias 등록 및 조회 (tail -f log 등록) (0) | 2021.12.24 |
[Linux] 리눅스 배치 크론탭 crontab 설정 ( 조회, 등록, 삭제) (0) | 2021.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