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생물학의 전문 용어가 아닌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쉬운 말로 설명합니다.
* 적아세포증은 적혈 모구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적아세포증이란?
* Rh-인 여성이 Rh+의 아이를 임신한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엄마의 항체(면역체)가 태아의 적혈구를 공격하는 현상이다.
* Rh-와 Rh+가 만나면 Rh+가 우성이라 대부분 아이는 Rh+가 된다.
* Rh-의 커플이 결혼하면 문제가 없지만, 우리나라의 Rh-타입은 약 0.2% 수준으로 Rh-의 여성이 Rh+의 남성과 결혼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 일반적으로 첫째의 경우 별 문제가 없을 수 있고, Rh+의 둘째를 낳을 때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
적아세포증의 과정
1) Rh-의 엄마가 Rh+인 첫째를 임신한다.
2) 출산과정에서 첫째의 혈액이 엄마에게 전달될 수 있다. (태반이 떨어져나가는 과정 등)
3) 엄마는 Rh-인데, Rh+의 혈액이 들어오니 항체를 만들어 이를 공격했다.
4) 엄마 몸에 Rh+ 항체가 남아있는 상태로 둘째 Rh+를 임신했다. 이 항체들은 둘째의 Rh+ 적혈구를 적으로 인식해 공격한다.
5) 태아의 적혈구는 미성숙하여 산소부족으로 유산/사산에 이를 수 있다.
그리드형
'기타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팡 파트너스 시작하기] 가입 및 배너/링크 생성 방법 (따라하기 쉬운 실습편) (0) | 2021.10.28 |
---|---|
[코로나 백신] 다른 접종과 같이해도 될까? (인플루엔자, 가다실) (0) | 2021.10.28 |
KB국민은행 Swift code 및 확인 방법 (스위프트 코드) (0) | 2021.10.15 |
[코로나] 백신 접종 완료 기준 (나는 접종완료자일까?) (0) | 2021.10.14 |
[3기 신도시] 사전청약 2차 입주자 모집 공고 및 청약 신청/당첨자 발표 일정 (0) | 2021.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