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Linux
[LINUX] 리눅스 chmod 명령어 (파일 권한 관리)
스터딩아재
2021. 12. 1. 22:40
반응형
리눅스에서 파일 권한을 바꿀 떄 chmod 명령어를 씁니다.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777주면 다주는 거란건 기억나는데 이게 막상 디테일하게는 잘 생각이 안 납니다. 복잡한 설명말고 간단히 정리만 하겠습니다.
권한 부여 대상
-rwxrwxrwx
리눅스에서 파일을 조회하면 나오는 위 정보는 어떤 사용자에게 권한이 부여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r은 읽기 w는 쓰기, x는 실행 권한입니다.
rwx : 파일 소유 USER
rwx : 파일 소유 GROUP
rwx : 파일 소유 USER 외
권한 부여
각 사용자에게 어떤 권한을 줄지 chmod 이후에 [ugoa +-= rwx] 옵션을 조합해서도 가능하지만 보통 8진수의 숫자로 권한을 부여합니다. 흔히 들어볼 수 있는 chmod 777이 그것입니다.
읽기(r)는 4, 쓰기(w)는 2, 실행(x)은 1, 권한없음(-)은 0입니다. 777은 모든 권한인 rwxrwxrwx를 주는 것 입니다.
다른 권한은 아래를 참고해서 필요할 때 보도록 하자.
--- | 0 |
--x | 1 |
-w- | 2 |
-wx | 3 |
r-- | 4 |
r-x | 5 |
rw- | 6 |
rwx | 7 |
그리드형